희망저축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뭐가 다를까? 조건·수령액 완전 정리

이름은 비슷하지만 희망저축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전혀 다른 제도예요.


두 제도 모두 정부가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자산형성 제도이지만, 대상, 소득 기준, 저축 금액, 지원 방식이 확연히 다릅니다.

헷갈리기 쉬운 두 제도를 아래에서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.

표로 한눈에 비교!

희망저축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뭐가 다를까? 조건·수령액 완전 정리

두 제도의 공통점

✔ 본인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
✔ 정부가 추가 매칭금을 지원해
✔ 만기에 목돈을 만들어주는 제도라는 점은 동일합니다.

두 제도 모두 저소득층이나 청년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에요.

희망저축계좌 주요 내용

✅ 주관 부처 : 보건복지부
✅ 대상 :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
✅ 연령 제한 : 없음 (가구 단위)
✅ 소득 요건 
  • 계좌Ⅰ → 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
  • 계좌Ⅱ → 중위소득 50% 이하
✅ 저축 금액 : 월 10만 원 고정
✅ 정부 지원금
  • 계좌Ⅰ → 매월 30만 원 고정
  • 계좌Ⅱ → 1년차 10만 원 → 3년차 30만 원
✅ 만기 수령액
  • 계좌Ⅰ 약 1,440만 원 + 이자
  • 계좌Ⅱ 약 1,080만 원 + 이자
✅ 신청 방법 : 반드시 주민센터 방문, 온라인 신청 불가

청년내일저축계좌 주요 내용

✅ 주관 부처 : 보건복지부
✅ 대상 : 만 19~34세 청년
✅ 소득 요건: 개인·가구 합산 소득 중위소득 100% 이하
✅ 저축 금액 : 월 10만~50만 원 자유 선택 가능
✅ 정부 지원금
  • 중위소득 50% 이하 → 1:3 매칭 (월 최대 30만 원)
  • 중위소득 50~100% 초과 → 1:1 매칭 (월 최대 10만 원)
만기 수령액 (3년)
  • 월 10만 원 저축 시 → 1,440만 원 + 이자
  • 월 30만 원 저축 시 → 2,160만 원 + 이자
✅ 신청 방법 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일부 온라인 가능 (복지로 모의계산)

가장 헷갈리는 포인트

  • 희망저축계좌는 연령 제한이 없고, 가구 단위로 신청해요.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만 19~34세 청년 개인만 신청 가능해요.
  • 희망저축계좌는 정부 매칭금이 고정(계좌Ⅰ) 또는 점진적 증가(계좌Ⅱ) 방식이에요.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 구간에 따라 매칭 비율이 다르며, 최대 월 30만 원까지 정부가 지원해줘요.
  • 두 제도 모두 정부 매칭금이 월 30만 원 상한선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요.

마무리 정리


청년 자산형성 지원금


두 제도 모두 저소득층과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지만, 가입 조건, 소득 기준, 수령액이 다릅니다.

자신에게 맞는 제도를 잘 선택해 더 큰 목돈을 준비해 보세요!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