희망저축계좌를 알아보려면 가장 먼저 소득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.
많은 분들이 “나는 조건이 될까?”라고 궁금해 하지만, 정답은 중위소득표에 있어요.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와 희망저축계좌의 소득 조건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.
복지 혜택과 지원 사업의 자격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며, 매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합니다.
아래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입니다.
가구원수 | 기준 중위소득 (월) |
---|---|
1인 | 1,445,812원 |
2인 | 2,396,846원 |
3인 | 3,093,935원 |
4인 | 3,771,736원 |
5인 | 4,425,746원 |
6인 | 5,049,406원 |
희망저축계좌와 중위소득 기준
희망저축계좌는 소득 기준이 까다롭습니다.
특히 희망저축계좌Ⅰ과 Ⅱ는 조건이 다르므로 반드시 구분해서 확인해야 합니다.
희망저축계좌Ⅰ 소득 조건
- 대상: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
- 소득 요건: 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.
- 예를 들어,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0%는 약 578,325원이며, 그 60% 이상은 약 346,995원 이상입니다.
- 즉, 일정 소득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.
희망저축계좌Ⅱ 소득 조건
- 대상: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
- 소득 요건: 중위소득 50% 이하
- 예를 들어, 1인 가구의 중위소득 50%는 약 722,906원 이하입니다.
- 근로·사업소득이 있어야 하며 무소득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.
나는 가입할 수 있을까? 실제 예시
희망저축계좌Ⅰ
- A씨(1인 가구), 월 소득 350,000원 → 가입 가능
- B씨(1인 가구), 월 소득 300,000원 → 가입 불가 (소득 미달)
희망저축계좌Ⅱ
- C씨(2인 가구), 월 소득 1,100,000원 → 가입 가능
- D씨(2인 가구), 월 소득 1,300,000원 → 가입 불가 (초과)
자주 묻는 Q&A
Q.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바뀌나요?
- A. 네,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합니다.
Q. 무직자도 희망저축계좌에 가입할 수 있나요?
- A. 불가능합니다. 근로·사업소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Q. 소득이 초과되면 정부지원금을 못 받나요?
- A. 네, 소득 초과 시 환수될 수 있습니다.
Q. 희망저축계좌Ⅰ은 하한선도 있나요?
- A. 네, 일정 소득 이상을 벌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 정리
희망저축계좌 가입 여부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중위소득표부터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위 표와 예시를 참고해 내 소득이 조건에 맞는지 꼭 점검해보세요.
더 정확한 정보는 복지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